몽골 울란바토르서 공식 협약식 및 교류 행사 진행
국산AI반도체 및 AI기반 디지털 행정 고도화 실증으로 글로벌 공공시장 진출 발판 마련
인공지능(AI)·빅데이터 전문 기업 비투엔이 확장현실(XR) 기술 기업 버넥트, AI 반도체 전문 기업 리벨리온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몽골 정부 기관과의 디지털 협력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한다.
비투엔은 13일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몽골 관세청(Mongolia Customs General Administration, MCGA)과 AI 기반 디지털 행정 협력을 위한 공동 협력 계획서(Joint Action Plan)를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공동 협력 계획서는 추후 정식 MOU 체결을 위한 사전 단계로, 실제 MOU와 동일한 협력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협약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지원하는 ‘AI-반도체 해외 실증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비투엔이 포함된 버넥트 컨소시엄(버넥트·비투엔·리벨리온)의 공동 참여 아래 성사됐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몽골 정부 기관과 직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AI 에이전트 서비스와 국산 반도체 NPU 기반의 인프라를 활용해 현지 관세행정 혁신과 몽골의 무역 원활화에 기여하는 실질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양국은 단순한 기술 실증을 넘어 디지털 행정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을 함께 구상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컨소시엄은 글로벌 공공분야에서의 기술 신뢰도와 수출 기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향후 디지털 ODA 연계 및 타국 확산 가능성도 기대된다.
몽골 관세청 청사에서 공식 진행된 협약식은 엔크타이반 겔레그잼츠(ENKHTAIVAN Gelegjamts) 부청장의 환영사로 문을 열었다. 이어 컨소시엄을 대표해 비투엔 이창현 대표의 연설 및 본 사업 소개, 관세청의 AI 정책 소개, 기관 투어 등 교류 프로그램과 AI 서비스 실증을 위한 구체적 논의도 함께 이뤄졌다.
본 협약식에는 양국의 협력 기관 및 기업뿐만 아니라 몽골의 디지털정보부, EU 등 유관 공공기관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으며, 몽골 국영방송국(MONTSAME), 언론사 등도 참여해 본 AI 사업에 큰 관심을 보였다.
앞서 비투엔은 4월 초, 주관사 버넥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글로벌 디지털 전환 수요에 대응한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 몽골 프로젝트는 이러한 협력 관계 속에서 추진된 첫 실질 사업으로, 구체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비투엔 이창현 대표는 “이번 협약은 기술 수출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며 “몽골 관세청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디지털 기술이 국제 공공행정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비투엔 류지선 해외사업팀 수석은 “관세청의 주요 임무는 대외무역을 원활하게 하고 위험 관리를 개선하는 것”이라며 “이 프로젝트를 통해 관세청에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를 고도화하고,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관세 행정을 실현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비투엔은 공공·민간 분야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디지털 플랫폼 구축, 인공지능 프로젝트 등을 전문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 글로벌 디지털 전환 수요에 발맞춰 해외 협력 사업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더뉴스프라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현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