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데스티니 가디언즈 시리즈 등 고사양 인기 게임 300여종을 LTE 휴대폰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는 클라우드게임 지포스나우(GeForce NOW)를 'LTE 휴대폰 및 패드'와 IPTV용 'UHD2 셋톱박스'에 확대
18일 서울 강남구 도심공항터미널 내 소노펠리체 컨벤션에서 ‘2020 통신 빅데이터 플랫폼 비즈니스 로드쇼’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0 통신 빅데이터 플랫폼 비즈니스 로드쇼에는 통신 빅데이터 플랫폼 주관 기업인 KT를 비롯해 11개 협력 기관이 참여했으며, 유동인
21일(토) 오후 7시 마마무, 김재환, 아이즈원(IZ*ONE), 나띠(Natty) 출연 '온택트(Ontact)' 라이브 콘서트 을 주최하며 U+아이돌Live로 독점 중계한다고 밝혔다.MIC ON(마이콘)은 아티스트가 팬을 위한 무대를 만드는 '나를 위한 콘서트', '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비대면) 확산으로 로봇 도입과 물류 시스템의 변화를 모색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디지털혁신(DX, Digital Transformation) 가속화를 위해 손잡은 KT와 현대중공업그룹이 지능형 로봇, 물류 플랫폼 혁신 솔루션 등
국내 공작기계 1위 업체인 현대위아가 로봇과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제조 현장 혁신에 나선다.현대위아는 로봇과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하는 ‘RnA(Robotics and Autonomous) 스마트 제조·물류 통합 솔루션’ 상용화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컨베이어 벨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 발사한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영상이 처음 공개됐다.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는 18일 천리안 2B호에 장착된 정지궤도 환경위성에서 관측된 아시아 대기질 자료를 최초로 공개했다.▲ 2020년 10월 2
세계적인 로봇과학자이자 글로벌 과학전문지 <파퓰러사이언스>가 선정한 젊은 천재 과학자 10인에 이름을 올린 데니스 홍(Dennis Hong) 미국 UCLA 교수가 ‘서울시 홍보대사’가 된다.데니스 홍 교수는 세계적인 로봇연구소인 UCLA '로멜라'(RoMeL
정부가 기초·원천 연구성과를 사업화로 연결시키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민관합동으로 8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해 창업기업 및 기술기반 기업에 투자한다.정부는 17일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주재하는 제14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정부서울청사와 정부세종청사 간
편의점에서 ATM(CD)을 통한 현금인출 거래 시 모바일 간편결제 앱 또는 생체(손바닥) 인증 등을 활용하는 ‘무매체 거래’ 비율이 급증하고 있다.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2020년 1월부터 11월 15일까지의 ATM(CD)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한화 방산계열사(㈜한화와 한화시스템, 한화디펜스)가 18일부터 20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대한민국방위산업전 (DX Korea 2020)'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화 방산계열사는 참가 기업 중 최대 규모의 통합 전시관을 마련하고, 인공지능(AI)와 드론·
LG전자가 GS칼텍스와 손잡고 전기차 충전소 통합 관리 솔루션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LG전자는 GS칼텍스가 18일 서울 서초구에 새롭게 문을 연 미래형 주유소 에너지플러스 허브(Energy+ Hub)에 전기차 충전소 통합 관리 솔루션을 공급했다. 양사는 지난해 초
한화그룹이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와 핵심인재 육성을 위한 '드림인 블록체인 해커톤' 행사를 개최한다.드림인(dreamin) 블록체인 해커톤은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앱을 개발하는 행사다. 해커톤은 해킹(hacking)과 마라톤의 합성어로 한정된 기간 안에 기획자,
LH는 장기임대주택 내 승강기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승강기 통합관리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승강기 통합관리 플랫폼은 전국에 산재된 LH 장기임대주택 승강기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전국 승강기를 실시간으로 원격관리해
LG유플러스와 MBC, KOBACO, KT, SK브로드밴드 등 5개 사는 17일 오후 KOBACO에서 "Addressable TV AD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각 사는 이 MOU를 통해 국내 방송광고 경쟁력강화를 위해 어드레서블 TV
현대건설이 지난 10월부터 ‘재해 예측 AI’ 가동을 통해 본격적인 AI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시작했다.‘재해 예측 AI’는 현대건설이 현재 시공 중인 국내 全 건설현장에 작업 당일 예상되는 재해위험 정보를 제공해 선제적 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자체개발한 시스템이다.